워드프레스의 새로운 에디터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에서 콘텐츠를 등록, 편집하는 에디터 시스템은 기본 중의 기본이며, 핵심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TinyMCE 기반 에디터 시스템은 편리하고 유연합니다. 사용자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금까지 경험한 여러 CMS 중에 워드프레스 에디터 시스템이 글쓰기에 가장 편리했습니다. 사용이 익숙할 때의 조건이 있지만,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 기본적이고 핵심인 콘텐츠 요소의 등록과 편집이 쉽습니다.

이러한 워드프레스 에디터 콘텐츠 편집 방식은 꽤 오랜 기간 큰 변화 없이 유지됐었고, 콘텐츠 편집 시 일부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편리성을 제공하거나 개선했습니다. 하지만, 커뮤니티에서 편집 방식 자체에 관한 대전환 의견이 제시되었고, 이에 올해 초부터 본격적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구텐베르크(Gutenberg)’입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

구텐베르크 에디터는 이 글 작성 시점으로 Gutenberg 1.0.0 버전이 플러그인 저장소에 등록되어 있고, 실 운용 사이트에 적용할 단계는 아니라고 하지만, 설치하여 경험하는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다음 그림은 구텐베르크 에디터 플러그인 설치 후 새로운 포스트 등록 화면입니다. 완전히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보이지만, 워드프레스 사용 경험이 있을 때 조금만 둘러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합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의 포스트 편집 화면

구텐베르크 에디터는 제목을 제외하면 블록(Block) 단위의 콘텐츠 등록 개념으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워드프레스에서는 단순히 블록 개념 이상의 혁신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문단(paragraph), 이미지 삽입, 드롭캡(Drop Cap), 버튼, 이미지 드래그 앤드 드롭, 목차(Table of Contents), 앵커(Anchor Support), 인용 블록(Pull Quotes Block), 새로운 콘텐츠 정렬 옵션(New Alignment Options, Block Alignment), 콘텐츠 임베드 목록 제공을 통한 쉬운 임베드(Embed Options), 커버 텍스트(Cover Text Options), Cover Image Settings, Fixed Background, 라이브 Html 블록(Live HTML Block), 테이블 블록(Table Block), 블록 위치 변경 등.

기존(현재) 에디터 시스템에서 플러그인이나 사용자 정의 스타일을 통해 구현했던 핵심 요소들을 기본으로 지원합니다. Visual, Text 모드는 당연히 지원하며, Text 모드에서 직접 블록을 정의할 수 있지만 익숙하지 않을 때 조금 어지럽고 에디터 사용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아직은 베타 단계이므로 공식 도입 시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 단계에서 구텐베르크 에디터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관리페이지 왼쪽 메뉴 Gutenberg > Demo 메뉴가 있습니다. 접근하여 예제 데이터를 확인하면 조금 더 쉽게 기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의 샘플 포스트 편집 화면

공식 도입 시 최종 기능을 확인해야 알 수 있겠지만, 샘플(demo) 포스트를 보면 꼭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구성한 싱글 포스트만이 아니라 최근 또는 특정 포스트 목록 등의 동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시스템에서도 가능하지만, 콘텐츠 레이아웃을 위한 CSS, 쿼리를 위한 추가 플러그인 사용 등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번거롭습니다. (약간의 코드 작업은 필요하겠지만) 상대적으로 배경 지식이 적은 사용자, 직접 템플릿 파일을 편집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방법론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프로젝트 구텐베르크(Gutenberg)

‘구텐베르크’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 알고 싶다면 다음 포스트를 따라가면 됩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와 워드프레스의 미래에 관한 창립자(Matt Mullenweg)의 생각을 볼 수 있고, Developers and agencies(개발자와 에이전시), Plugin developers(플러그인 개발자), Theme developers(테마 개발자), Core developers(코어 개발자), Web hosts(워드프레스 호스팅), Users(사용자) 등의 역할에 따라 구텐베르크 에디터가 가져다줄 이익과 기회에 관하여 피력하고 있습니다.

We Called it Gutenberg for a Reason

‘구텐베르크’는 우리에게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금속 활판 인쇄술로 성서의 대량 생산(인쇄, 출판)을 가능하게 하여 책을 쉽게 출판할 수 있게 하였으며, ‘대중 매체’의 한 축인 ‘신문’을 탄생하게 하였다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를 떠올리게 됩니다. 동시에 우리의 조상이 그보다 먼저 금속 활자 인쇄술을 발명했다는 이야기도.

위의 워드프레스 창립자의 포스트에도 관련 내용이 나오는데, 자유, 대중, 민주라는 단어가 나오는 것에서 구텐베르크로 이름을 지은 이유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의역하면, 많은 사람에게, 누구나, 모든 사람에게 출판의 자유와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어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담대한 포부를 담은 이름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조금 어색하지만, 자신감이 있어 좋습니다. 콘텐츠 에디터 하나가 세상의 특정 문화를 변화시킬 수도 있는 때니까요.

도입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와 관련한 창립자의 포스트와 관련한 글을 보면 워드프레스의 새로운 에디터로 ‘구텐베르크’가 도입될 가능성은 큽니다. ‘워드프레스 5.0’에 공식 도입을 설정하고, 그렇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의 글도 있습니다.  가능성이라는 단어보다는 ‘확정’이라고 말하는 것이 좋겠네요. 창립자의 의지가 확고한 것 같으니까요.

구텐베르크 에디터는 글쓰기 자체보다는 다채로운 콘텐츠 등록과 표현에 더 어울린다는 생각인데, 현재의 에디터 시스템에 적응한 상태의 생각이므로 새로운 에디터에 적응한다면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 에디터가 아닌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문단으로 구분한)를 그대로 붙여넣어도 거의 완벽하게 문단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을 볼 때 적응의 문제이지 취향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합니다.

댓글 3

  1. 오~ 새로운 희소식 잘 읽었습니다. ^^

    저는 지금 에디터도 큰 불만은 없는데 구텐베르크라는 에디터 시스템이 워드프레스에 도입되면 일반인(초보자)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나중에 버전업, 확장 플러그인들이 나오면 왠만한 페이지 빌더들 망하는 것 아닌지요? ㅎㅎ

    P.S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초가을에 접어드려는 것 같아요. 풍요로운 가을 되세요. ^^

    1. 반갑습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가 초보자 뿐 아니라 제작하시는 분,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거 같아요. 단순히 글을 쓸 때 필요한 에디터 이상의 개념을 가진 듯합니다. ‘빌더’에 관해 잘 짚으셨는데, 금방 망하지는 않겠지만 영향은 있을 거 같아요. 구텐베르크 에디터를 대비해서 뭔가 준비하는 개발자나 업자도 있다고 합니다.

      댓글 고맙습니다.